(7) a. 문 열어요.
b. 문 열어주세요.
c. 문 열어주시겠어요?
d. 문 열어주실 수 있을까요?
長句通常給人較柔軟、委婉的感覺,而短句則較強勢、堅定,所謂「簡潔有力」的表現,但這都不會影響到兩種句型的語意。若從這個觀點來看,上述(1)(2)的句子似乎可以歸類為「同義說」。
關於這點,임홍빈(1987)強烈質疑並舉了下列例句,說明即使是感覺上的差異仍可影響到語意,因此主張(1)(2)兩句應屬不同意義。
(8) a. 영희는 참으로 못 생겼다./ b.*생기지 못했다.
(9) a. 철수는 참으로 못 났다./ b.*나지 못했다.
(10) a. 입학시험에 떨어진 철수는 참 안 됐다./ b.*되지 않았다.
(11) a. 저런 짓을 하는 것을 보니 창수는 못 됐다./ b. 되지 못했다.
임홍빈(1987)認為長短形兩種否定的差異如果沒有從其原本所具有的否定價值來考量的話是不行的,也就是說,短形否定本身確實比長形否定更容易帶有特殊的語意。因此,像(8)短形否定的‘못 생겼다’其代表的特殊語意即是‘추하다(醜-)’,這樣的語意是長形否定‘생기지 못했다’無法表現的,所以임홍빈認為長短形兩種否定實無法被認定為是相同的否定。(9)的情形也是一樣。
對此,송석중(1977)也持贊同意見表示,短形否定比長形否定更容易帶有特殊語意或慣用語意,在程度上也是短形否定較易出現負面的狀態或語意。因此,(10)表示‘불쌍하다’或‘불행하다’的‘안 됐다’並無法用 ‘되지 않았다’來替換,因為長形否定很難像短形否定一樣具有語意的特殊性。(11)的‘못 됐다’和‘ 되지 못했다’雖具有相同的意思,但前者負面的程度表現比後者來的強。
上述論議看起來似乎很有道理,但是임홍빈所舉的這些例子卻有其爭議性,因為在韓語中像‘못 생겼다’、‘ 못 났다’、‘안 됐다’這樣附有特殊語意的例字已經被視為單一語而非否定表現,所以只能當作是例外,不太適合拿來與長形否定做比較。我們再來看看下列句子。
(12) a. 철수는 좋은 선생님이 못 됐다./ b.되지 못했다.
(13) a. 준비가 아직 안 됐다./ b. 되지 않았다.
(14) a. 이 노래는 흥이 안 난다./ b.나지 않는다.
(12~14)的‘못 됐다’、‘ 안 됐다’、‘ 안 난다’都是短形否定,但卻沒有出現所謂的特殊語意,所以 (a,b)都是正確的句子,也可以互換。如此看來,並非每個短形否定都帶有特殊的語意,(8~11)可以說是特例,若只以這些例句就判定長短形否定不同義,似乎有欠妥當。直至目前我們可以大膽地下個小結論,長短形否定基本上在語意方面並沒有很大的差別,若要說有的話,那只有在語感上給聽者的微妙差別罷了,亦即,短形否定對於話者的意圖通常有較強烈的詮釋,在程度表現上也較具負面狀態;長形否定則單純地表示否定行為或狀態。
以上僅以語意論為出發點,針對長短形否定的語意差別來進行討論,那麼在統辭範疇上,長短形否定是否有所差異?長短形否定的統辭構造是否相同?以下是進一步的說明。
(15) a.*철수는 안 공부한다.
b. 철수는 공부 안 한다.
c. 철수는 공부하지 않는다.
(16) a. 이 결론은 안 명백하다.
b.*이 결론은 명백 안 하다.
c. 이 결론은 명백하지 않다.
(17) a.*장미꽃이 안 아름답다.
b. 장미꽃이 아름답지 않다.
(18) a.*아무도 그를 안 얕본다.
b. 아무도 그를 얕보지 않는다.
從上面的例句中可以清楚知道,短形否定在統辭上有些制約,而長形否定並沒有。例句(15)的‘공부하다’代表了‘名詞+하다’這類型的派生動詞,若要將此類型的派生動詞進行短形否定的話,否定素‘안’必須置於名詞與‘하다’之間,以‘~ 안 하다’來表現。像‘공부+하다’這樣可以分離的動詞很多,例如,연구하다, 운동하다, 이해하다, 말하다, 얘기하다…等皆屬於此類型。
(16)的情形剛好相反。(16)的‘명백하다’代表了‘~하다’類型的派生形容詞,其短形否定句必須以‘안 ~하다’來呈現,與(15)的派生動詞否定‘~ 안 하다 ’成了鮮明的對比。像‘명백+하다’這樣可以分離的形容詞很多,例如,총명하다, 추하다, 필요하다, 유명하다…等皆是。